Siner's Blog


awscheat sheetcomputer sciencecontainercrawlingdartdatabasedjangodockergitgolanggraphqlhrhttpiacjavakubernetesmapmonitoringnestjsnetworknodeooppythonsecurityserverlessstorageterraformttbkktypescript,javascriptuxvalidation

https://user-images.githubusercontent.com/34048253/155850316-5fe00d64-13dc-48cc-8f63-0df29c77f7af.png
리눅스에 구글드라이브 연동하여 백업스토리지로 활용하기
rclone과 crontab을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백업 프로세스
4 min read2021.9.10

작년에 지인이 rclone, google drive, cloudbox를 활용하여 구글드라이브에 올린 영상을 plex라는 어플로 감상할 수 있도록 구축한 경험을 들은 적이 있었다. (구글드라이브 저장소를 친구들과 공유하고, plex계정도 친구초대가 가능해서 이부분에서 시너지가 폭발하는 듯 했다) 나는 영화도 잘 보지 않았기 때문에 그냥 그런 좋은 활용방법이 있구나 하고 넘어갔었는데, 최근에 홈서버를 새로 구축하면서 데이터베이스의 백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문제가 발생한 적이 있어서 이번에 새로 서버를 구축하면서 rclone과 google drive를 연동하여 리눅스에 마운트된 디렉토리에 주기적으로 database backup을 남겨야겠다는 필요성을 느꼈고, 구축 경험을 남기고자 한다. rclone homepage / github rclone은 클라우드 저장소와 저장소를 동기화시켜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지원하는 클라우드 저장소는 amazon s3, googld drive…

https://user-images.githubusercontent.com/34048253/61307238-ef645900-a828-11e9-860c-21eb3bf9f7ab.png
장고(Django)에서 S3 연동하기
Amazon Web Service S3
4 min read2019.7.17

출처 : django 에서 S3에 Static, media 파일 저장하고 사용하기 소셜미디어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Static 파일들에 대한 트래픽 부담을 줄이기 위해 S3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Django에서 S3를 연동하기 위해서는 boto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었으나, 정확한 사용 방법을 몰라서 찾아보았고, 나중에도 사용할 때 까먹지 않기 위해 포스팅으로 작성하려 한다. 1. 버킷 생성 image 버킷 이름을 작성하고 image 넘어가고 image 모든 유저가 읽을 수 있게 Block 설정을 해제해주자 image 최종 확인 후 생성한다 image 버킷이 생성되었다 2. Policy 설정 image Bucket 선택후 Permissions - Bucket Policy 에서, 아래처럼 내용을 작성한다 BUCKET-NAME은 Bucket Policy 설정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USER-ARN은 https://console.aws.amazon.com…

1